본문 바로가기
유용한 정보

연봉 협상 할 때 필수 확인해야 할 사항, 2023 연봉별 실수령액

by 프롬나드101 2022. 12. 14.

한 해가 지나고 다시 연봉 협상을 해야 하는 시기가 다가왔습니다. 2023년에 연봉 협상 시에 체크해야 할 부분과 유의해야 할 부분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합시다.

 

연봉 협상시 체크해야 할 사항

 

1. 2023년 최저임금

최저임금은 최근 매년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. 2023년의 최저임금은 얼마인지 반드시 확인해보시고 계약하시기 바랍니다.

*2023년 최저임금 (세전)
- 시급 : 9,620원
- 월급 : 2,010,580원 (주 40시간)
- 연봉 : 2,412만원 이상

 

올해 2022년에 비해 내년 최저시급은 약 5% 인상되었습니다. 주 40시간 근로 기준으로 이제 월급은 200만 원을 넘어서게 되었네요. 

 

*주의사항

각종 수당이나 상여 그리고 식대나 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은 최저임금에서 제외되므로 해당 금액을 제외한 최저임금을 확인하셔야 합니다.

 

2. 연차휴가 및 연차수당

 

연차휴가

- 1년 미만 근로자는 1개월 근무 시 다음달에 연차를 1개씩 부여받게 됩니다.

- 2년차에서는 15개, 3년 차부터는 2년마다 연차 1개씩 추가로 더 받게 됩니다.

- 근로자의 날이나 법정 공휴일에 쉬는 것은 연차로 적용하지 않습니다.

 

연차수당

- 연차 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매년 1월 1일에 전년도 미사용분을 계산하여 1월 월급에 수당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.

- 연차 수당을 월급에 포함시킨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지만 해당 수당은 최저임금에서 제외되어 추가로 계산되어야 합니다.

 

3. 동종업계 연봉

회사내에서 연봉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.

동종업계에서 내 경력 정도의 연봉을 체크해보고 본인이 어느 정도인지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4. 연봉인상 기준점

평균적으로 내가 받는 수당과 인센티브 등 모든 수당을 체크한 뒤 해당 금액에서 15% 내외로 인상하는 것이 적합합니다.

 

5. 2023년 연봉별 월 실수령액

연봉 실수령액 연봉 실수령액
2600만원 약 195만원 4400만원 약 314만원
2800만원 약 208만원 5000만원 약 351만원
3000만원 약 222만원 5400만원 약 377만원
3200만원 약 235만원 5800만원 약 402만원
3400만원 약 249만원 6000만원 약 414만원
3600만원 약 262만원 7000만원 약 476만원
3800만원 약 276만원 ... ...
4000만원 약 289만원 1억원 약 650만원

 

6. 2023년 4대 보험 요율

구분 사업자 근로자
국민연금 4.5% 4.5%
건강보험 3.545% 3.545%
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.81% 건강보험의 12.81%
고용보험 0.9% 0.9%

2023년부터 인상되는 4대 보험 요율은 위와 같으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회사 사정에 따라 다르겠지만 본인의 업무 능력과 매출 등을 판단하여 올바른 연봉 협상을 하시기 바라겠습니다.

 

반응형

댓글